경산SNS서포터즈

경산소방서 하양119안전센터 탐방

황금천 2022. 4. 30. 15:53






















경산소방서 하양119안전센터 탐방




경북 경산시 하양읍 대경로 793(지번주소 하양읍 동서리 752-2)에 있는 하양119안전센터를 탐방했다.

하양119안전센터는 경산소방서 소속이다.

직원들 근무시간은 매일 00:00 ~ 24:00 이다.

직원들은 근무부서 특성상 상호 교대하면서 365일 계속 근무중이다.

전화번호 053-852-0119 이다.

경산소방서는 경북 경산시 압량읍 김유신로 12(지번주소 압량읍 신대리 149)에 있다.

직원들 근무시간은 매일 00:00 ~ 24:00 이다.

직원들은 근무부서 특성상 상호 교대하면서 365일 계속 근무중이다.

전화번호 053-811-1119 이다.

소방서 하는 일
소방서는 화재의 예방과 불을 끄는 임무를 맡아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 주는 기관이다. 소방서는 국민의 생명 ·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함으로써 공공의 안녕 질서 유지와 사회 복지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소방서에서는 소방관과 소방차가 언제든지 출동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추고 있다. 또 119번의 화재 신고 전화가 설치되어 있어 화재 발생 신고를 즉시 받을 수 있다. 오늘날의 소방서는 소방 장비를 더욱 현대화하고, 화재를 예방하는 데 힘쓰고 있다.

소방차에는 소방 펌프차 · 고압 소방 펌프차 · 사다리 소방 펌프차 · 굴절 사다리 소방 펌프차 · 화학 소방 펌프차 · 배연 소방차 · 조명차 · 무선차 등이 있다.

소방차는 엔진을 바로 시동할 수 있고 오래 운전할 수 있다. 붉게 칠해서 눈에 잘 띄게 하고 사이렌을 울리며 출동할 때에는 모든 차와 사람이 길을 비켜 주어야 한다.

소방관이 입는 방화복에는 최근 크게 발달하여 복사열을 차단하고 신체를 보호하는 알루믹스 방화복과 높은 열에 견디는 내열복, 방사성 동위 원소 시설 등에 화재가 났을 때 방사능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하는 방사능 보호복도 있다.

소방 펌프차는 소방 차량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다. 고출력의 펌프와 호스를 갖추고 인명 구조와 소화 작업에 필요한 여러 기기를 싣고 있으며, 일반 화재 때에 많이 쓰인다.

화학 소방 펌프차는 위험물 시설 및 기름 탱크 등의 기름 화재와 기타 특수 화재에 쓸 화학 약제를 싣고 있다. 굴절 사다리 소방 펌프차는 자동차 뒷부분에 360˚ 회전되는 턴테이블을 갖추어 놓고 그 위에 유압 실린더로 높낮이를 조정하는 붐을 2~3마디 설치하여 고층 건물의 화재 진압 또는 인명 구조에 쓰인다.

사다리 소방 펌프차는 고층 건물의 소화 또는 인명 구조에 재빠르게 대처하기 위해, 기복 · 신축 · 선회가 가능한 사다리를 소방 펌프차 차대에 실은 것이다. 배연 소방차는 연기가 가득한 빌딩 · 창고 · 지하도 등의 화재 때에 인명 구출 · 소화 등에 종사하는 소방대원의 호흡용으로 사용되는 공기 호흡기용 예비 봄베를 실은 것이다.

▶ 불이 났을 때
① 화재를 발견하면 즉시 119로 신고한다.
② 화재 신고가 소방 본부에 접수된다.
③ 화재 장소와 가까운 소방서로 연락한다.
④ 화재 경보가 울리고 소방대원들이 소방복을 입고 출동 준비를 한다.
⑤ 신속하게 화재 현장으로 출동한다.
⑥ 불이 난 곳에 호스로 물을 뿌려 화재를 진압한다.
⑧ 화재 원인을 조사한다.

연혁

2020년 10. 29 중산119안전센터 개소
2019년 1. 1 예방안전과 소방특별조사담당 신설 인력보강(4명)
2017년 11. 6 청도소방서 개서로 인한 조직개편
※ 관할구역 변경: 1개시(경산시)
2017년 6. 12 119안전센터장(진량, 하양, 자인) 직급 상향 (위->경)
2016년 11. 15 현장대응단 신설
2014년 11. 29 경산소방서 현재의 신청사로 이전
2013년 7. 17 금천119안전센터 개소
2010년 4. 9 청도119구조대 개소
2008년 5. 1 자인, 풍각119안전센터 개소
2006년 3. 9 구조구급과(구조담당, 구급담당)신설
2004년 5. 13 구조구급담당 신설
1998년 11. 13 진량파출소 개소, 상황실 민원계 신설
고령파출소 성주소방서로 관할구역 변경
※관할구역 변경: 1개시 1군(경산시, 청도군)
구조조정으로 민원실, 구조구급계, 상황실 폐지
1996년 4. 29 달성군지역 경상북도에서 분리
※논공파출소 대구 관할로 변경
1995년 3. 31 구조구급계 신설
1994년 12. 31 119구조대 발대
1994년 10. 18 고령파출소 개소
1992년 8. 27 중앙파출소 개소
1991년 12. 14 법률 제4419호로 시-군 기초에서 시-도 광역으로 전환 ※관할구역 변경: 1개시 3개군(경산시, 청도군, 달성군, 고령군)
1991년 7. 4 하양파출소 개소
1990년 03. 16 청도파출소 개소
1989년 1. 2 경상북도 규칙 제1693호에 의거 파출소 명칭 변경(중부파출소 -> 조영파출소)
1987년 12. 1 논공파출소 개소
1986년 6. 14 경산소방서 이전(現청사)
1983년 9. 1 경산소방서 개소(중부파출소 ※경산군 경산읍 서상동 24-1번지-임시청사)
1982년 7. 12 경산소방서 설치승인(대통령령 제11171호-중부파출소)

조직
소방서장
소방행정과, 예방안전과, 구조구급과, 현장대응단, 관할구조대 및 안전센터

관할구조대 및 안전센터
관할구조대 및 안전센터 연락처 주소 관할지역
압량119안전센터 813-1119 경산시 압량읍 김유신로 12 대정동, 임당동, 대평동, 조영동, 갑제동, 대동, 압량읍
119구조구급센터 816-0119 경산시 압량읍 김유신로 12 경산시 전역
중산119안전센터 817-1191 경산시 펜타힐즈4로 1 옥곡동, 사정동, 옥산동, 중산동, 정평동, 남천면
중앙119안전센터 813-0119 경산시 장산로 143 삼남동, 서상동, 신교동, 삼방동, 백천동, 삼북동, 중방동, 남방동, 내동, 여천동, 유곡동, 신천동, 점촌동, 평산동, 사동, 삼풍동, 계양동
하양119안전센터 852-0119 경산시 하양읍 대경로 793 하양읍, 와촌면
진량119안전센터 856-0119 경산시 진량읍 공단2로 72 진량읍
자인119안전센터 857-2119 경산시 자인면 금학로 25-11 자인면, 용성면, 남산면


"자나 깨나 불조심 !!!"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경산소방서 하양119안전센터에서

제9기(2022년) 경산시 SNS 서포터즈 황금천